3ds Max Script - Spline Z Editor Expert
스플라인 Z 에디터 익스퍼트
- 라인내 버텍스의 위치(Z값)를 조절해주는 스크립트입니다.
- 전체 버텍스 z값을 확인하면서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CSV (엑셀 데이터 파일) 파일을 불러와 순차적으로 자동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보통 도로 모델링 시, 중심선 선형의 Station 적용을 위해 사용합니다.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선형을 만들 수 있지만 맥스에는 기본 기능이 없기에 스크립트로 만들어봤습니다)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일반적인 스크립트 버튼 적용 방법은 이전글을 참고하세요.
1. 먼저 중심선을 Station 단위로 정리된 상태로 시작합니다.
- 보통 20m 간격으로 Station이 정해지며, 그에 맞는 종단값을 적용하게 되므로, 20m 간격으로 Vertex 균등 분할 합니다.
- 외부 스크립트인 'Spline Cleaner'를 사용합니다
Cad파일 불러온 원본 센터 라인입니다. 버텍스가 불규칙합니다.
외부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20m간격으로 정리했습니다.
( Unit Setup = meter )
2. 스크립트 'Sline Z editor Expert'를 실행합니다
- 선이 선택된 상태에서 'Refresh' 버튼을 클릭합니다.
- 현재 Vertex 데이터가 업데이트 됩니다.
- 버텍스 개수와 넘버 순서대로 Z값이 나열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재는 평면 상태라 모두 0.0 이라고 나옵니다.
3. 첫 번째 방법 : 하나씩 개별 입력
- 수치값을 보면서 하나씩 입력하여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 전체 버텍스 값이 보이므로 아무래도 오류를 줄여주긴 합니다.
- 여전히 수작업의 고통이 있습니다만 확인하며, 수정하기 편합니다.
예시 ) 도로 종단을 선형에 반영하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 CAD 파일의 종단 계획고 값을 보면서 하나씩 입력합니다.
1) 계획고 1번 값 = 95.53을 적용해보겠습니다.
1) 아래 리스트 (List Vertex) 에서 #1 이 선택된 상태에서, 'Z position' = '95.53' 을 입력합니다.
2) 하단의 'Apply Seleted #' 버튼을 클릭합니다. (또는 'Enter'키 입력)
이렇게 Z값이 1번 버텍스에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런 식으로 쭉 입력해보겠습니다.
- CAD 파일을 보면서 계획고 값을 하나씩 입력했습니다.
- 입력 하면서 하나씩 꼭꼭 'Enter'키 또는 'Apply Slelected #' 버튼을 누릅니다.
- 이렇게 10개 정도 입력만 한 상태입니다. (아직 Update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선이 그대로 있죠.
3) Update Spline 해보겠습니다.
- 혹시 숫자를 잘 못 입력했는지 먼저 확인 가능합니다.
- 이상이 없다면, 제일 하단의 'Update Spline' 을 눌러서 현재 입력한 값들만 적용해봅니다.
- 제일 하단의 'Update Spline'을 꼭 눌러줘야 입력한 데이터가 적용이 됩니다.
- 중간 중간 입력하면서 'Update Spline' 해주면서 확인합니다.
수치값이 크게 변동되는 것이 아니라 눈에 잘 띄지 않는데요.
Side View 에서 보면 서서히 증가하고 있음을 미묘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이제 Load CSV를 활용해서 한 번에 적용해봅니다.
*먼저 엑셀파일을 정리합니다.
1) 레벨값이 포함된 엑셀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보통 토목 설계시 사용하는 '선형계산서.xls' 파일을 활용합니다)
- 보통 측점이 20m 단위로 쭉 만들어져있지 않기 때문에 아래처럼 노란색 부분(20m 단위)만 발췌하여 정리해야 합니다.
2) 20m 단위 행만 남기고 나머지는 행 삭제하여 정리합니다.
3) 실제 사용할 데이터인 '계획고 열'만 남기고 모든 열을 삭제합니다.
- 아래처럼 1열만 남기고 모두 삭제했습니다.
- 사용할 실제 값들입니다.
- 여기에서 254개의 측점이 사용되는데, 너무 많으니 샘플로 일단 50개 정도만 정리했습니다.
4) CSV파일로 저장합니다.
- 파일형식 드롭다운 하여 확장자를 'CSV UTF-8 쉼표로 분리' 선택하고 이름 입력하여 저장합니다.
5. CSV 파일 불러오기 및 적용
1) 적용전 상태입니다.
- 먼저, 엑셀에서 정리해둔 파일 리스트가 50개 였습니다.
- 따라서, 적용할 스플라인의 버텍스 갯수도 50개로 맞춰뒀습니다. (원래 254개였음)
- 즉, 버텍스의 갯수 = 엑셀파일 데이터 갯수 동일해야 합니다.
2) CSV파일을 불러옵니다.
- 스크립트 화면 하단에 'Load CSV file' 버튼을 클릭합니다.
- 파일 브라우저에서 정리해둔 엑셀 파일 '상행_50.CSV' 을 불러옵니다.
3) 적용된 모습입니다.
- 파일을 불러오면 바로 적용이 됩니다.
- 혹시 바로 적용이 안된다면 하단의 'Update Spline'을 눌러줍니다.
4) Sweep으로 도로를 만들어봤습니다.
- 선형이 Z값이 잘 적용되어 곱게 만들어지네요.
*다음에는 선형계산서.xls 파일이 없을 때, 도면을 엑셀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적용해보겠습니다.
- 이제 더 이상 맥스에서도 노가다는 필요없습니다-
스크립트 링크 (Script Link) : https://smartstore.naver.com/atomnbit/products/12108513196
(네이버 스토어에서 할인 판매 중입니다)
There are separate dollar payment sites for foreigners.
Script Link : https://litt.ly/openlearn
(littly store site for promotion on domestic or international area)
BR.h
'3D M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Max Script 버튼 툴바에 적용하기 (0) | 2025.07.19 |
---|---|
3ds Max 지형 만드는 두 가지 방법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