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s 만들어서 올리기
1. chatGPT 3.5 > GPT4 유료 플랜으로 업그레이드
GPTs를 만들려면 일단 GPT-4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당연히 유료 결제가 필요하다.
아래 배너 혹은 업그레이드로 체크하여 들어간다
2. ChatGPT 플러스로 업그레이드를 선택한다
일반적인 개인 사용자라면 Plus로 선택하고, 회사에서 여러 사람이 사용한다면 팀으로 선택한다
3. 결제 정보를 입력한다
아래는 입력 전 화면이다. 월 구독료가 20불이고, 부가세 포함 22불이다. 약 월 3만원 돈이다.
이래 저래 사용할 일이 많다면, 잡일 빠르게 시킬 조수 하나 싸게 쓴다고 생각하자.
일년에 36만원 짜리 조수라고 생각하고 결제했다, 나는 그랬다.
<정보 입력 예시>
입력할 정보는 이메일주소, 카드정보, 카드소유자이름, 청구주소 등이다.
아래를 참고하여 본인의 정보를 입력한다.
"비즈니스 목적으로 구매합니다" 옵션을 선택하면, 사업자 이름과 사업자등록번호 입력필드가 활성화되며,
사업자로 결제할 경우 부가세 처리도 가능하다.
4. Explore GPTs 입장
결제를 완료하고 나서 홈으로 돌아오면 아래처럼 Explore GPTs가 없었는데 이제는 보일 것이다
5. Create 생성하기
Explore GPTs에 입장하면 다양한 GPTs들의 리스트가 등장한다, 각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있고, 필요한 것은 검색해 볼 수도 있다. 원하는 것이 있다면 여기서 찾아보면 된다. 아쉬운 점은 GPTs를 사용하려면 GPT-4 결제한 사람들만 들어와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 무료 사용자는 GPTs를 찾아볼 수 조차 없는 것이다. 물론 사용은 불가해도 볼 수 있는 방법이 있긴하다. ( 다른 사이트를 통해서 : 이건 다음 편에서 실제 등록해보는 것으로 보여주겠다)
우측 상단의 Create 버튼을 누르면 생성을 시작할 수 있다.
6. Create / Configure창
Create로 들어오면, Create 와 Configure 둘 중 하나로 시작할 수 있다.
내가 어떤 GPTs를 만들고자 정해둔게 있었다면 여기서 만들기 이전에
GPT-3.5나 GPT-4로 미리 프롬프트 테스트를 진행해 본다.
그리고 거의 어느 정도 프롬프트가 다듬어졌을 때 여기에서 마지막으로 더 다듬어 완성한다.
두 가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Create로 시작할 경우
순차적으로 Chat을 진행하면서 만드는 과정을 이끌어준다.
시키는 대로 작성하다보면 GPTs를 쉽게 만들수도 있다.
단, 원하는 정확한 것을 만들려면 과정 중에 계속 수정해보며 테스트를 하는 것이 결국 필요해진다.
a. 프롬프트에 어떤 것을 만들려고 하는지 입력한다.
b. 제목을 정하라고 나온다. > 제목을 입력한다.
c. 제목에 맞게 로고를 만들어준다. (달리를 사용함) > 마음에 들 때까지 반복해서 다듬는다. (이게 잘 마음에 안든다)
*로고는 다른 AI를 사용하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eg. adobe firefly가 좀 더 쓸만하게 빨리 원하는 것에 근접한다.
d. 프롬프트 내용을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해주는 특징이 있는데, 그에 따라 작성하다 보면 GPTs가 완성된다.
어느 정도 정리가 되면 우측 Preview 에서 Chat을 입력하여 테스트해 볼 수 있다.
이제 됐다 싶거나, 중간에라도 Configure에 가서 확인해 볼 수도 있겠다.
2) Configure로 시작하는 경우
Create 모드에서 시작해서 진행하면 그 내용이 결국 Configure에 자동으로 입력된다고 보면된다.
그게 귀찮으면 그냥 Configure 탭에서 바로 시작할 수도 있다.
직접 로고도 만들어서 업로드할 수도 있고, 달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달리를 사용할 경우, 제목 혹은 인스트럭션을 어느 정도 기입해야 로고 생성이 자동으로 된다. (잘 안 된다 ㅜㅜ)
아래 처럼 입력 필드에 내용을 기입한다.
a. Name : 만들려고 하는 GPTs의 이름(제목)을 기입한다.
b. Description : 제목 아래에 들어가는 부제목 같은 것이다. 간단한 설명 문구 한 줄짜리로 기입한다.
c. Instruction : 여기에 프롬프트 내용을 모조리 집어 넣는다.
d. Conversation Starters : 보통 Chat 초기 화면에 기본 질문 4가지가 뜨는데, 이것을 설정할 수 있다.
e. Knowledge : Upload files 버튼을 눌러 내 컴퓨터의 자료를 올려서 그것을 참조하여 학습하게 할 수 있다. (해킹 주의!!)
f. Web Browsing / DALL-E Image Generation : 웹브라우징(검색)을 사용할 것인지, 달리를 사용할 것인지 체크.
g. Action : 외부 API, 사이트 등을 연동할 수 있게 해주는 것 같다. 아직 사용해보진 않았다.
모두 작성하고 Create 버튼을 통해 발행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공개할 지, 링크로 내보낼 지, 퍼브리싱해서 공유할 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바로 등록이 되고 공유되면 GPTs 목록에서 검색을 통해 내가 만든 GPTs를 찾아볼 수 있고, 실행해 볼 수 있다. 한 번 작성해서 일단 저질러보자. 일단 올려놓고 공유해서 보면서, 맘에 안드는 것들은 계속 수정하면서 업데이트 하면 된다.
다음 편에서 직접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시험 준비 문제 만들기" GPTs를 만들어 볼 것이며, 그 예제를 보면서 설명해보겠다.
눈은 게으르고 손은 부지런하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pilot 사용해보기 (0) | 2024.04.15 |
---|---|
Framer AI 사용해보기 (0) | 2024.04.13 |
Stable diffusion 사용하기_온라인_Colab 2023 (0) | 2023.06.05 |
메타휴먼 아바타 만들기 (0) | 2023.06.04 |
AI 번역기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