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데이터 타입과 변수 Data Type, Variable
데이터 타입과 변수
1. Data Type
2. Variable
1. Data Type
자바스크립트 등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인 숫자, 문자열을 그대로 인식하여 출력함
1, 2, 3, 4+5, 등등
"나" , "my" , "is to get" , " i " + " have" , 등등
변수의 선언및 할당은 정해지지 않은 숫자나 문자열을 다른 입력을 통해 대입시키기 위해 필요함
즉,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을 위해서 하나의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한 초기 설정이라고 볼 수 있음
이러한 데이터는 선언 > 초기화 > 할당의 순서로 이뤄짐
const | 상수 (변하지 않음) constant | 재선언x, 재할당x | 기본으로 사용 |
let | 변수 (변하는) | 재선언x, 재할당o | 필요시만 사용 |
var | 변수 상수 개념없음 | 재선언o, 재할당o | 사용안함 권장 |
boolean | 참/ 거짓 | 판단 | |
null |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찬 non value | 메모리에 아무것도 없다고 확언하기 위해 사용 | |
undefined | 값이 들어있지 않은 | 메모리에 있지만 값은 없음 |
2. Variable
이러한 코드의 의미는 a라는 알파벳을 상수로 사용하겠다고 선언하고, 1이라는 숫자를 할당했음을 말함
즉, 이후부터 a라는 알파벳은 모든 곳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며, 그 값을 변화시켜 무언가 만들겠다는 얘기임
자세한 참조 :https://velog.io/@bathingape/JavaScript-var-let-const-차이점
var, let, const 차이점
JavaScript에서 변수 선언 방식인 `var, let, const` 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1. 변수 선언 방식 우선, `var`는 변수 선언 방식에 있어서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변수를 한 번 더 선언했음에도 불구하
velog.io
const 의 사용
예시 1 규칙의 발생 : 숫자 5가 연속해서 사용되고 있음
예시 1을 변수로 바꾸기 : 숫자 5를 a라는 변수로 만들어 대입시킴
이렇게 하면 a의 값만 바꾸면 세 개의 식에 동일하게 대입시킬 수 있게됨
이것이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임
const는 이러한 변수를 담을 수 있도록 a를 선언했음을 말하는 규칙임
console.log(); 이 기능은 화면에 괄호안의 값, 연산결과를 콘솔 화면에 출력하겠다는 얘기임
해당파일을 저장하여, html파일을 크롬 브라우저에서 열고,
F12를 눌러 개발자모드를 활성화 한 후, F5로 새로고침하면서 확인하면 됨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것을 브라우저에서 확인 가능함
BR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