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래된 맥북 프로 13" 2013 late 보드 교체 및 OS설치 II

From.h 2025. 11. 17. 01:09
728x90
반응형
SMALL

 

오래된 맥북 프로 13" 2013 late 보드 교체 및 OS설치 II

 

맥북 분해 후 보드 교체, 재조립 후 전원 확인

 

 

 

 

 

 

 

 

 

1. 부품 구매
https://ooowoool.tistory.com/entry/오래된-맥북-프로-2013-late-보드-교체-및-OS설치

 

오래된 맥북 프로 13" 2013 late 보드 교체 및 OS설치

오래된 맥북 프로 13" 2013 late 보드 교체 및 OS설치 1. 부품 구매2. 분해 및 교체, 결합3. 초기 부팅 방법4. OS 업그레이드 제 맥북의 상태 2013년에 탄생한 오래된 맥북 프로입니다.음료(물)을 엎질러서

www.openlearnproject.com

 

2. 분해 및 교체, 결합

3. 초기 부팅 방법

4. OS 업그레이드

 

 

 

 

 

 

 

 

2번 분해 및 교체 결합 과정

1. 뒷판 제거

 

P2 별 드라이버입니다.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나사10개를 풉니다

 

나사 길이가 다른 두 종류입니다 (중앙 상단 2개 : 짧음, 나머지 8개 : 긴 나사 ) 풀린 나사를 위치에 맞게 그려진 곳에 놓아둠

 

* 주의 : 뒷판 별나사가 너무 작은 것이라 헛돌거나 하면 낭패입니다. 천천히 누르면서 돌려야 합니다. 

 만약 나사머리가 닳거나 했다면 검정색 절연 테이프를 붙인 후 그 위로 꾹눌어서 맞춘 후 천천히 힘주어 돌리면 살짝 풀리는 느낌이 납니다. 그러면 테이프는 제거하고 다시 돌려보면 돌아갑니다.

 

10개 나사를 모두 풀렀습니다.

 

커터칼 등을 틈으로 비집고 넣어서 살짝 들어올린 후 헤라로 돌아가면서 들어올립니다.

- 오래된 맥북은 배터리 패키징 부분과 뒷 판이 붙어서 잘 안떨어집니다만 나사만 잘 풀렸다면 그냥 들어올리면 됩니다.

 

뒷판을 제거한 모습입니다.

 

 

 

 

 

 

 

 

 

2. 배터리 커넥터 분리

 먼저 이 부분을 들어올립니다. (살짝 접착되어있으므로 조금만 들어올리면 됨)

 

한 손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소형 일자 드라이버를 저 틈 사이에 넣어서 천천히 들어올리듯 위를 향해 밀어줍니다.

 

이렇게 윗쪽을 들어올리면서 빼면됩니다. (주의 : 스티커처럼 붙어있는 외피 부분을 너무 세게 잡아당길 필요없습니다)

 

 

 

 

 

3. SDD 분리

- T4 드라이버를 준비합니다.

SSD 옆에 별 나사 1개 를 제거합니다.

 

손으로 옆으로 잡아빼듯이 당기면 빠집니다. 너무 뻑뻑할 경우 약간 좌우로 흔들면서 빼면 쉽습니다.

 

 

 

 

 

 

4. 레비오사 I/O케이블 제거

 

- 역시  T4로 나사 2개를 풀어줍니다.

 

철제 부품이 먼저 빠집니다.

 

헤나로 가볍게 위로 들어올리면 커넥터가 제거됩니다

 

손으로 들어올려 제껴놓습니다.

 

안쪽에 보면 커넥터가 하나 더 있습니다. 헤나를 이용해 틈새를 밀어서 제거합니다

 

그 옆에 커넥터도 들어올려 제거합니다.

 

 

 

 

 

 

5. 우측 인터페이스 커넥터 제거

- 우측에 각종 USB, HDMI, 메모리 슬롯과 연결된 커넥터들을 제거합니다.

- 먼저 이 부분을 제거할 것인데, 스티커로 붙어있습니다.

 

손으로 살짝 들어올린 후. 하늘 방향으로 당기면서 빼야합니다. 쉽지 않습니다. 헤나를 사용합니다

 

그 안쪽에 보면 또 작은 커넥터가 하나 있습니다. 이게 최상 극악의 난이도입니다.

테이프 형식의 손잡이로 되어있지만 조금 당기자 그냥 떨어져버렸습니다.

이건  넓적한 부분을 헤나로 최대한 몸쪽으로 밀어내면서 빼야 합니다.

사진상 보이지 않는데, 이부분을 위로 들어올려 빼내면 그 안에 하나 더 있답니다.

 

이렇게 분해한 상태로 보면 들어올리는 것이 하나 있고, 그 안에 더 작은 플랫한 필름 처럼 생긴 커넥터가 하나 더 있습니다.

 

 

 

 

 

 

 

6. 전원 커넥터 제거

- 일단 연결선 아래는 접착 되어있으므로 살짝 헤나로 들어올려 떼어준 후,

-  헤라를 이용해 윗쪽의 홈을 콕 눌러줍니다.

 

저 틈 사이를 커터칼로 삐집고 들어가서 넓게 만든 후 제거하면 좀 더 도움이 됩니다. (우측 방향으로 빼냅니다)

 

분리한 커넥터는 위로 들어올리고, 좌측 알미늄으로된 부분 커넥터를 제거합니다.

이부분은 먼저 손잡이 처럼 생긴 것이 있는데 이걸 먼저 올려줘야 합니다. (드라이버 위치를 살짝 누르면 걸쇠가 튀어 올라옵니다)

 

손잡이 처럼 생긴 걸쇠를 잡고 우측 방향으로 당겨서 빼내야 합니다. 하지만 쉽게 안빠집니다. 

 

헤나도 함께 이용해 밀어주면서 손으로는 당겨주면서 빼면 조금 낫습니다. 

 

 

 

 

 

 

 

7. 키보드 및 터치패드 커넥터 제거

- 여기에도 아마 걸쇠같은 것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바닥 부분에 헤나를 비집고 들어가면 뭔가 위로 열리고,

 

아랫쪽은 자세히 보면 필름처럼 생긴 얇은 Flexable 커넥터가 연결되어있어서 사실 잘 안빠집니다.

헤나로 필름 끝은 몸쪽 방향으로 밀면서 조금씩 뺐던 것 같습니다.

 

그 옆에 부분은 스티커 처럼 붙어있는 것을 들어올린 후, 헤나로 조금씩 밀면서 빼냅니다. 

- 몸쪽 방향을 밀어서 빼내야 합니다.

 

두 개 커넥터가 빠진 모습니다. 분해에서 가장 난이도 있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얇기도 하고, 공간도 좁아서 힘드네요.

 

 

 

 

 

 

8. 쿨링 팬 커넥터 제거

T4를 이용해 팬에 고정된 나사를 제거합니다

 

커넥터 부분 제거합니다.

 

헤나로 튀어나온 부분만 비집고 들어가 들어올린 후 손으로 살살 빼내면 됩니다. (하늘 방향)

 

그 위에 있는 커넥터는 양쪽 끝에 튀어나온 부분을 헤나로 먼저 밀어주고나서 위쪽 방향으로 밀면 됩니다.

 

테이프로 접착되어있는 선을 떼어냅니다.

 

이부분은 십자 드라이버를 통해 나사를 풉니다.

 

 

 

 

 

 

 

9. 보드 연결 나사 제거

- 보드를 체결시켜놓은 나사를 별드라이버 T4를 통해 제거합니다.

 

총 5개를 제거합니다.


윗쪽에 전원부 옆의 커넥터를 제거합니다. 

 

하늘 방향으로 들어올립니다.

 

헤나로 보드판 사이에 넣고 들어올립니다.

 

쿨링팬은 먼저 제거하고 보드판은 왼쪽 방향으로 당기면서 빼내듯 제거합니다. (우측 인터페이스가 함께 있으므로)

 

뜯어낸 보드 바닥면으로 뒤집어 보면 이렇게 쇼트나서 타버린 부품들이 보입니다.

 

 

 

 

 

 

10. 새로운 보드를 체결

 

새로운 보드 (위), 원래 보드 (아래) 입니다.

 

원래 CPU와 붙어있는 쿨링팬 연결부는 재사용해야 하므로 풀어낸 뒤 구리스를 닦아낸 후 다시 도포합니다.

( 새 보드에 구리스 바르는 장면을 찍지 못했네요...아쉽)

( 쿨링 팬도 뜯어서 청소한 후 다시 조립했습니다... )

 

원래 쿨링팬 연결부를 새로운 보드에 체결해줍니다.

 

 

 

10. 역순으로 연결

- 먼저 전원 커넥터부터 체결합니다.

 

포트 부분에 밀어넣고, 나사를 체결합니다.

 

계속해서 역순으로 체결합니다.

 

 

 

 

 

 

 

 

 

정리해봅니다

 

분해 순서 숫자표기

1. 배터리 커넥터

2. SSD

3. 레비오사 I/O 커넥터

4. 쿨링팬 커넥터

5. 전원부 커넥터

6. 디스플레이 커넥터

7. 키보드, 터치패드 커넥터

8. 쿨링팬 고정부

9. 인터페이스 커넥터

10. 보드 (노란색 = 보드 체결 나사 위치)

 

 

 

 

 


 

최소 전원 테스트를 위한 체결순서

10. 보드 (노란색 = 보드 체결 나사 위치)

9. 인터페이스 커넥터

7. 키보드, 터치패드 커넥터

6. 디스플레이 커넥터

5. 전원부 커넥터

 

 

 

여기 까지 가조립 상태입니다.

전원을 키고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1. 키보드 alt(option)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전원(맥세이프) 선을 측면에 체결합니다.

- 전원이 문제없이 들어온다면, 

- 인터넷 접속을 통한 설치 확인 화면이 뜹니다.

- 먼저 인터넷 접속을 확인합니다. (wifi 잘 살아있는지 확인)

- 본인 Wifi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체크합니다.

- 일단 접속

 

 

2. 아래처럼 서포트 페이지에 접속 불가하다는 화면이 뜹니다.

- 이제 이를 무시하고 전원 버튼을 눌러 끕니다.

- 일단 전원이 들어오고 디스플레이도 작동하고, 키보드, 와이파이 작동 모두 확인했습니다.

- 나머지 조립부분을 진행해서 덮개를 덮어 조립은 끝을 냅니다.

 

 

3. 모두 조립 완료된 후, 다시 전원을 켤 때에는 commend + R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누릅니다.

- 이제 아래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복구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 복구 과정은 이어서 계속됩니다.

 

 

 

 

 

 

 

 

 

BR.h

728x90
반응형
LIST